반응형

 

안녕하세요!

30대 초반에 아이를 낳아 기르게 된 초보빠빠라고 합니다.

테무, 알리익스프레스, 쉬인등의 저렴한 해외직구 어플들이 한국에 들어오게 되면서

점점 구매대행에 대한 인기가 시들시들해져 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럴때라도 솟아날 구멍은 있는법!!(저는 못찾겠습니다....)

아직 구매대행의 경우 한국에 물건을 사입하기 전 테스트 용도로 쓰시거나, 알리/테무/쉬인등에서 구매하기 어려운 제품들을 소싱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늦었지만 구매대행 물건 등록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대량 등록

 - 말그대로 대량의 물품을 소싱,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 장점은 짧은 시간과 노력으로 대량의 물건을 한꺼번에 업로드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 단점은 어떠한 제품이 올라갔는지 직접적인 확인이 불가능 하다는 점입니다. 이게 어떤 문제가 되냐? 라는 질문을 하실 수가 있을 실텐데요, 대량으로 물건을 긁어서 소싱했다고 했을때 지재권 및 상표권 침해등에 연관되기 매우 쉬워지며, 제품 단가 측정에 문제가 생겨 역마진이 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 위와 같은 단점이 있는데 왜 하는걸까요??? 그건 저와같은 초보사업가 분들은 어떤물건이 팔릴지에 대한 감이 크게 없습니다. 그리하여 대량등록으로 다양한 물건을 소싱해 본뒤, 반응이 있거나 판매가 일어나는 제품 위주로 다시 소싱을 하거나 그 품목만 상세페이지를 변경하여 다시 올리는 방식으로 활용 되고 있습니다.

 * 프로그램의 경우 : 서프라이즈, 캐시데이터, 더판다 등이 있습니다.

 

2. 수동 등록

 - 제품을 하나, 하나 직접 올리는 방식입니다.

 - 대량으로 한번에 하지 왜 귀찮게 하나 하나 직접 올리느냐 라는 생각을 하실 수도 있지만, 수동 등록의 경우 대량과 방식이 다릅니다.

 - 대표이미지부터 상세페이지의 번역 및 수정 혹은 새로 만드는 상세페이지 부터, 제품을 직접 확인해 보고 가격 부터 하나한 상세하게 직접 컨트롤 해서 올리는게 수동 등록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장점은 직접 판매제품을 찾는것부터 단가 및 운송비 청구까지 하다보니 대량등록에 비해 타율(소싱한 물건 대비 판매율) 이 높습니다. 또한 재구매율이 대량 및 반자동에 비해 월등하게 높습니다.

 - 단점은 물건을 하나하나 찾고 올려야 하나 보니 1개의 제품을 소싱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됩니다. 더불어 제품을 1개씩 타겟팅 하여 올리는 방식이다 보니 직접 올린 제품이 판매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힘빠져요....

 - 하지만 정말 확고한 품목이거나 대량으로 판매가 이뤄져 판매가 가능하다 생각하는 품목은 수동을 추천 드립니다.

 

3. 반자동 등록

 - 수동과 대량등록의 중간이라고 보시면 될것같습니다.

 - 제품은 하나하나 찾아야 하나 간단한 클릭으로 제품 수집이 되고, 한번에 많은 제품 소싱이 가능하나 제목 및 키워드 옵션명을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 장점은 대량과 같이 엄청난 수를 한번에 올리는건 아니지만 대량의 물품을 지재권 이슈 없이 올리는게 가능합니다.(다만, 사용자가 지재권에 걸릴 품목만을 올린다면 지재권에 걸립니다.) 또한, 중복된 물품이 없이 등록이 가능하고, 내가 원하는 제품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단점은 대량도 수동도 아닌 애매한 포지션이라는 것. 한번에 대량의 물건을 소싱하는것도 그렇다고 하나하나 세심하게 소싱하는것도 아니다 보니 조금 애마한 경우가 있습니다.

 - 다만 지재권 및 상표권 이슈에 대해 걱정많으신 분들이라면 반자동 등록을 추천드립니다.

* 프로그램의 경우 : 윈들리, 래프디업, 투플렉스 등


자! 이렇게 해서 오늘은 구매대행 물건 올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내일은 제가 판매하는 물건을 어떤 방식으로 찾아서 소싱하는지 알려드릴께요.

물론 아직...많이 팔지는 못하지만...

혹시나 도움이 될 수도 있으니 까요~^^

반응형

+ Recent posts